2016년 12월 27일 화요일

0. 스크래치란?

스크래치(프로그래밍 언어)

최근 수정 시각 : 
파일:attachment/scratch.png
Scratch1.4

파일:Scratch2Editor.png
Scratch2.0

홈페이지
1. 개요2. 버전
2.1. 1.42.2. 2.02.3. Scratch Explorer2.4. ScratchX
3. 관련 사이트4. 추천할만한 작품들5. 여담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2005년 MIT 미디어 연구소에서 공식 발표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기존의 텍스트 형식의 프로그래밍 언어와 달리, 블록을 조립하듯 주어진 스크립트를 연결시켜 간단한 게임이나 애니메이션 등을 만들 수 있다. 프로그래밍 언어에 익숙하지 않은 아이들은 물론이고 전 연령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실제로 중학생 정보 교과에 실리고, 이외에도 프로그래밍 언어를 접해보지 못한 대학생들의 기초 강좌로 스크래치를 이용하기도 한다.

2. 버전[편집]

2.1. 1.4[편집]

스크래치 1.0부터 시작하여 1.4까지 업데이트를 마친 상태이다.
프로그램이 오픈소스라서 모딩이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추가바람.

2.2. 2.0[편집]

2012년 클론 기능[1]과 벡터 그래픽, 추가블럭, 클라우드 변수등 여러가지 기능이 추가된 스크래치 2.0이 공개되었다. 수 년간 한글화도 완벽하게 되지 않고 베타 테스트에 머물러 1.4 버전에 비해 선호되지 않는 편이었으나, 베타 테스트가 끝난 2015년 이후로는 보편화되었다. 주의할 점이라면, 1.4에서 제작한 프로젝트(.sb)와 2에서 제작한 프로젝트(.sb2)는 상호호환되지 않는다. 1.4에서 제작하던 프로젝트를 2에 인식시킬 수는 있으나, 한번이라도 2.0에서 저장된 적이 있는 프로젝트는 추가 기능의 사용 여부와는 무관하게 1.4에서 인식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별도의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2.0에서 1.4로 바꿀 수 있다. 변환 프로그램[2]

2016년 12월 현재 최신 버전은 v453

2.3. Scratch Explorer[편집]

공식사이트1 공식사이트2
이 스크래치 익스플로러라고 불리는 프로그램은 스크래치 1.4 모딩 프로그램의 대표적인예로 자칭 3.3버전으로 최초 출시되었다.
기존 스크래치에 없는 무수히 많은 블럭과 기능들이 추가 되어 범용성이 매우 뛰어나다.

2.4. ScratchX[편집]

ScratchX의 베타 버전이 출시되었다. 스크래치X는 2와 GUI는 같지만 여러 유저들이 만든 확장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확장 기능은 트위터 연동, 3D 스크래치, TTS 등이 있다. 하도 온갖 기능이 만들어지고 있는 탓에 사기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3. 관련 사이트[편집]

강의는 이곳에서 들을 수 있다. 다만 사용자에 따라 블로거들의 스크래치 강의가 더 배우기 좋다고 하는 경우도 있으니 본인에게 맞는 강의를 찾아볼 필요도 있다.

국내 커뮤니티는 네이버 카페를 제외하면 활성화되어 있는 곳이 없다. 

4. 추천할만한 작품들[편집]

어린이들의 학습을 위해 개발된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퀄리티보다는 그냥 아이들 수준으로 간단하게 만들어진 작품들도 많지만, 프로그래밍 언어인 만큼 범용성이 뛰어나서 사람들의 상상을 초월할 만한 작품들이 나오기도 한다. 아래는 그 예시들로, 여러분들이 완성도가 뛰어나다고 생각되는 작품들을 보고 이 위키에 링크를 걸어주면 대단히 감사하시라.

5. 여담[편집]

  • 기본 출력물이 swf인데, 이걸 이용해서 정신나간 가격의 어도비 플래시 대용으로 쓰는 사람도 있다. 이 외에도 자바나 exe같은 파일로 바꿔주는 프로그램도 있다. 또한 swf를 apk로 바꿔 모바일로 쓸 수도 있다.
  • 의외로 약빤 MLG 관련 합성물을 만들기 위해서도 이게 많이 쓰인다(...).
  • 별도 소프트웨어가 아닌 순수 플래시로 제작된 체험판이 공개된 바 있다. 어차피 스크래치는 무료 이용에 제한이 없는 프리웨어이기 때문에 멀쩡한 정식 공개 버전을 두고 다국어 지원조차 되지 않는 체험판을 사용해야 할 이유는 딱히 없고, 그냥 있다는 정도만 알아두면 되는 정도.
  • 공식적으로는 스크래치의 모바일 구동을 달리 지원하진 않지만, 스크래치 에디터 및 작품을 모바일에서 구동하는 방법이 몇가지 존재한다.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는, 퍼핀 브라우저와 같이 모바일에서의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 실행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모바일에서 스크래치 온라인 에디터[6]를 구동하는 것. 또한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다운 받을 수 있는 Scratch Player라는 앱이 있는데, sb2 파일을 모바일에서 구동할 수 있게 해준다. 이외에 스크래치 공식 포럼에 업로드되어있는 비공식 제작된 모바일 에디터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다만 공식 스크래치 온라인 에디터를 그대로 불러오는 첫번째 방법을 제외한 다른 방법은 한국어를 포함한 다국어 지원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음에 유의.
  • 공식적으로 스크래치로 제작된 저작물에 대해서는 CC-BY-SA 2.0 license가 적용된다. 그러한 즉, 스크래치로 제작된 프로그램임을 밝히고(BY - 저작자 표시) 똑같이 CC-BY-SA 2.0 라이센스를 적용(SA - 동일 조건 변경 허락)하기만 한다면 스크래치 이용자가 스크래치로 제작한 프로그램을 영리적으로 이용해도 약관 상으로 문제가 없다. 이는 홈페이지 FAQ에도 명시되어 있다.

6. 관련 문서[편집]

비슷한 소프트웨어로 네이버 주식회사가 후원하고 있는 교육 플랫폼인 엔트리가 있다. 해당 항목 참고.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스크래치 문서의 r39 버전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1] 하나의 개체를 동일하게 기능하는 여러개의 개체로 복제하는 기능. 기존에는 클론 기능이 지원되지 않아 탄막 등을 구현하기 위해선 탄환 스프라이트 자체를 여러개를 만드는 번거로운 방법을 쓰거나, 펜이나 도장찍기를 이용해 프레임을 맞추어 렌더링을 하는등 편법을 동원하는 수밖에 없었다.[2] 단 1.4에 없는 2.0의 기능들을 모두 제거 해야 1.4로 변환했을때 오류가 안난다.[3] 참고로 두 작품의 차이점은 서버의 차이점일 뿐이지 같은 개발자가 만든 같은 게임이다.[4] 참고로 위의 2D 마인크래프트, 테라리아, 지오메트리 대시, 봄버맨, 스크래치 에뮬레이터는 모두 "griffpatch"란 한 사람에 의해 개발되었다.[5] 다만 컴퓨터 사양이 학교 컴퓨터 수준으로 낮을 경우엔 잘 안돌아 간다.[6] 스크래치 에디터를 온라인상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플래시로 제작해 업로드한 형태의 스크래치 에디터.

댓글 없음:

댓글 쓰기